본문 바로가기

미디어깨기?/Premiere

[프리미어 01] 프리미어 처음부터 끝까지

반응형

[계란으로 PC깨기?]

프리미어 : 처음부터 끝까지


이번 강의는 아무 것도 배우지 않은 채로

무조건 

처음부터 끝까지 내질러 보는 시간입니다. 


일단 프리미어가 뭐하는 건지 정도는 알아야 하지 않을까 해서 만든 

강의라고 보시면 됩니다.


시작하겠습니다. ^^







강의 미리보기


일단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면 Prezi.com 사이트로 연결됩니다. 오늘 뭐하는지 전체과정을 넣어 두었습니다. 


기초편집 프레지 화면 보기 <- 클릭하세요.


프레지 사이트가 열립니다.. 


전체화면으로 보고 싶다면 영상의 우측 끝의 [최대화] 단추를 클릭하면 됩니다. 

그리고 화살표 클릭하거나 키보드의 오른쪽 방향키를 이용해도 진행을 시킬 수 있습니다.


그냥 한번 주~욱 훑어보시면 됩니다. 







프리미어 준비


오늘 강의는 프리미어 CS5 버전으로 진행하지만 여러가지 설치 문제로 그 이하 버전을 갖고 계시거나

프리미어 CS6 버전 또는 그 이상의 CC 버전을 가지신 분들도 많을 거라 봅니다.


그냥 있는 걸로 실행하시면 됩니다.

없다구요?.. 

있어야 하는데...... ^^; 아무튼.. 있는 것으로 보고 강의 진행합니다. ㅡ.ㅡ;;;;;;;


프리미어를 실행하면 화면에 다음과 같은 화면들이 순서대로 나올겁니다. 

그림을 보면서 따라오세요.







[New Project]를 선택해서 새로운 작업을 시작합니다.








작업파일의 저장위치와 파일명을 입력합니다. 

이 파일은 작업파일이지 동영상파일이 아닙니다. 다양한 소스파일들을 편집하기 위한 작업장 되시겠습니다.

동영상은 나중에 인코딩을 한 후에 생성됩니다. 








준비한 동영상이 있다면 그 동영상의 크기에 맞춰서 프리셋(Preset) 목록에서 선택합니다.

우리는 [DV-NTSC] - [Standard 48KHz]를 선택하도록 할겁니다. 

통일하는게 좋겠죠?


보통은 촬영한 캠코더나 카메라의 저장 방식을 따라서 설정을 해 주면됩니다. 
저는 SONY 캠코더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[AVCHD] 형식으로 저장되어서
그걸 주로 사용합니다.







드디어 프리미어의 작업화면이 실행되었습니다. 






 

 

프리미어 초기화면은 여러개의 작은 화면(패널)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것인데요.. 

나중에 차근차근 설명할 기회가 오겠죠?

 

일단은 먼저 알아 두실 것!!

 

작업화면 초기화 하기 : 

[Window] - [Workspace] - [Reset Current Workspace]


이것 저것 하다 보면 위의 화면이 뒤죽박죽 되거나 찾으려는 창이 사라져 안보이는 경우도 있을 수가 있습니다. 

그때 현재 작업창을 초기화 시키는 메뉴가 위의 메뉴입니다.


아마 혼자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처럼 누가 시키는 것 따라하려면 자주 사용하게 될 겁니다.







 

 

동영상 가져오기(Import)

 

이제 준비가 끝났으면 동영상 클립을 하나 가져 와 보죠.


프리미어는 동영상을 만드는 프로그램이지만 캠코더나 스마트폰으로 찍은 동영상 클립이 없으면 "말짱 꽝!!"입니다.

동영상 클립은 아래의 파일을 다운 받아서 쓰시면 됩니다.

 


 






우선 [Project]창을 더블클릭합니다. 

(또는 [File]-[Import])


그러면 [import]창이 열리면서 동영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

(참, 강의 중간에 시간이 좀 흐르면서 컴퓨터가 바뀌었고.. 프리미어 버전도 CS4로 변경되었네요.. 착오 없으시길...)







 

[Project]창에 가져온 [01.wmv]파일이 보입니다.


가져온 [01.wmv]파일을 선택하면 위쪽에 미리보기와 파일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미리보기 화면의 왼쪽에 있는 삼각형을 누르면 재생도 되고요..


고 위의 사진기 단추를 미리보기 재생 중에 누르면 해당 장면을 재생되지 않을 때 보여줄 수 있습니다. 

클립이 많아지면 아주 유용합니다.  







 

이렇게 [Project]창의 빈 곳을 더블클릭하는 것만으로도 

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, 음악, 사진, 심지어 파일들이 들어있는 폴더 까지 통째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.

작업할 파일을 가져왔으니까 이제 슬슬 손좀 보겠습니다. (|.|)

 

 





동영상 편집 맛보기

 

이미 임포트(Import)시킨 동영상을 더블클릭합니다. (또는 동영상을 끌어다가 [Source]창에 떨어뜨려도 됩니다.)







 

[Source]창의 아래에 있는 도구들을 이용해 실제로 편집하기 전에 동영상 클립을 손질(?)할 수 있습니다. 

손질 후에는 [Timeline]창으로 그 영상을 끌어다 두면 되고요.. 

이건 나중에 다시 배울 겁니다.

 

이번에는 이렇게 해 볼까요?

동영상 클립을 사전 손질하지 말고, 그냥 통째로 바로 편집하는 곳으로 끌고 갈 수도 있거든요..

[Project]창의 동영상 클립을 끌어서 아래쪽 [Timeline]창으로 옮겨 보세요.

요렇게요...




 




미리 손질해서 갖다 놓든, 갖다 놓고 나서 손질하든 뭐 장사(?)하는데는 아무 문제 없으니까 상황에 따라 골라 쓰세요.


팔딱팔딱 뛰는 싱싱한 놈을 보여주고 싶다면 그냥 생(?)으로 [Timeline]에 갖다 두고

세밀하게 편집해서 보석처럼 빛나게 하시려면 [Source] 공장에서 세공한 후 보내시면 됩니다. @.@

 

어떻게든 [Timeline]에 클립이 들어오면 화면 오른쪽 위의 [Program]창에 영상이 보여집니다.

[Play] 단추를 누르면 재생됩니다.







 

하여간 [Timeline]에 있는 동영상 클립.. (손을 아직 안봤네요..)


먼저 너무 납작해서 잘 안보이니까 확대부터 하겠습니다. [Zoom In]단추를 몇번 누르겠습니다.

다른 방법으로는 키보드의 [+] 키를 눌러도 됩니다. 







 

화면이 확대되면 삽입된 동영상 클립의 끝부분으로 마우스 포인터를 옮겨보세요. 

모양이 "ㄷ"자 모양으로 바뀌죠?

이것을 "트림포인터(Trim Pointer)"라고 합니다.

(별로 중요하지는 않습니다. ^^;)







 

이 "트림포인터"를 왼쪽으로 끌면 동영상 클립의 길이가 작아집니다.

그러면 어떻게 될까요?

그만큼 재생시간이 줄어들겠죠? 동영상이 나오다가 짤리는겁니다. ^^

예.. 동영상의 끝부분의 필요없는 부분을 잘라낼 때 쓸 수 있는 방법입니다.

 

마찬가지로 왼쪽의 동영상 시작부분에 마우스 포인터를 맞춰도 "트림포인터"는 나타납니다.

역시 오른쪽으로 끌어서 시작부분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낼 수 있겠죠?

 

"트림포인터"로 아래와 같이 양쪽을 잘라내 보세요.







 

잠깐만!!


캠코더나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촬영할 때 

찍고 싶은 장면이 시작하는 순간 녹화단추를 뿅~ 누르면 분명히 앞부분이 조금 잘리게 됩니다. 

그래서 행사(?)가 시작하기 전에 미리 녹화시작 단추를 누르고, 

행사가 끝날 때도 끝남과 동시에 녹화중지 시키지 말고 조금 여유있게 중지시켜야 편집에서 마음껏 멋을 부릴 수 있습니다.   


그런데요.. 재미있다고 영상을 위처럼 저렇게만 만들어 두면... 또 문제가 됩니다.

시작할 때 일정부분이 검은화면만 나오게 되는 거죠. 

재생할 영상 내용이 없으니까요. 


그래서 앞부분을 잘라낸 후에는 반드시 클립 전체를 왼쪽으로 끌어서 [Timeline] 시작부분에 맞춰 주셔야 합니다.







 

 

동영상 내보내기(Export)

 

이제 편집까지 끝났으니까 실제로 동영상을 만들어 봐요. 우리...

맛보기 편집이 끝난 프리미어 화면에서 [File]-[Export]-[Media]를 선택합니다. 말 그대로 내보내기 입니다.

단축키는 Ctrl + M 입니다.







 

열려진 Export Setting 대화상자에서 여러가지 설정을 합니다.


신경향(?) 맞춰 Format을 "H.264"로 변경하고...

Output Name을 클릭해서 파일저장 위치와 파일명을 설정합니다. (저는 "바탕화면"에 "나의 첫 동영상"으로 했습니다.)

만들어지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아래쪽 "Video" 탭을 클릭해서 너비(Width)만 조금 줄였습니다.







 

[OK]를 누르면 다시 새로운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. 

"Adobe Media Encoder"인데요.. 

프리미어 CS5 버전에서는 바로 인코딩을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.

이미 준비는 다 되어 있는 상태이니까 [Strart Queue]를 선택해서 진행을 시킵니다.







 

완료되면 이제 Adobe Media Encoder는 필요없네요. 종료해주세요.


저장했던 폴더로 찾아갑니다. 저는 바탕화면에 저장했으니까 프로그램을 모두 최소화(Window Kew + M)했더니..

와~~ 대~박!!


정말 있네요.. 나의 첫 동영상..!! O.O







 

더블클릭하면 곰플레이어나.. 미디어플레이어 등의 프로그램으로 동영상이 재생 됩니다...

 

감격적입니다... ㅠㅠ;

 

오늘은 이 감격 그대로 유지하고... 공부 마치죠.. ㅡ.ㅡ;


수고하셨습니다.



반응형